[운영체제]🦖공룡책🦕3장 - 프로세스(1)
·
CS
3장 학습 목표프로세스 개념에 대해 학습프로세스 스케줄링 방식 학습프로세스 생성과 종료 연산프로세스 간 통신 방법 학습IPC 시스템 학습클라이언트 서버 환경에서의 통신에 대해 학습프로세스 개념 (Process Concept)초기의 컴퓨터 시스템은 한 번에 하나의 프로그램만을 실행하도록 허용했었다. 하지만 시간이 흘러 오늘날 시스템들은 메모리에 다수의 프로그램이 적재되어 병행 실행 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발전이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뜻하는 프로세스란 개념을 낳았다.프로그램이 컴파일 된 코드와 같은 명령어 리스트들을 포함하는 정적인 개체라면, 프로세스는 메모리 구조를 이루어 현재 활동 상태를 나타내는 등의 동적인 정보를 가지는 동적인 개체인 점을 기억해두자. (프로그램 카운터 값을 통해 현재 어떤 명령..
[운영체제]🦖공룡책🦕2장 - 운영체제 구조(3)
·
CS
https://seung2344.tistory.com/112 [운영체제]🦖공룡책🦕2장 - 운영체제 구조(2)https://seung2344.tistory.com/110 [🦖OS🦕]2장. 운영체제 구조(1)이 장의 학습 목표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학습사용자 인터페이스 종류에 대해 학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콜을 사용하seung2344.tistory.com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학습사용자 인터페이스 종류에 대해 학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콜의 종류에 대해 학습링커와 로더에 대해 학습운영체제 설계를 위한 모놀리식, 계층화, 마이크로 커널, 모듈 및 하이브리드 전략에 대해 학습운영체제 성능을 모니터링 하기 위한 도구 학습운영체제 성능 모니터링에 관련한 내용은 XV6를 사용한 간..
[운영체제]🦖공룡책🦕2장 - 운영체제 구조(2)
·
CS
https://seung2344.tistory.com/110 [🦖OS🦕]2장. 운영체제 구조(1)이 장의 학습 목표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학습사용자 인터페이스 종류에 대해 학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콜을 사용하는 방법 학습운영체제 설계를 위한 모놀리식, 계층화, 마seung2344.tistory.com지난 포스팅에 이어 마저 공부해보자.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학습사용자 인터페이스 종류에 대해 학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콜의 종류에 대해 학습링커와 로더에 대해 학습운영체제 설계를 위한 모놀리식, 계층화, 마이크로 커널, 모듈 및 하이브리드 전략에 대해 학습운영체제 성능을 모니터링 하기 위한 도구 학습시스템 콜(System Call)시스템 콜은 커널과 사용자 사이의 인터페이스이다..
[운영체제]🦖공룡책🦕2장 - 운영체제 구조(1)
·
CS
이 장의 학습 목표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학습사용자 인터페이스 종류에 대해 학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콜의 종류에 대해 학습링커와 로더에 대해 학습운영체제 설계를 위한 모놀리식, 계층화, 마이크로 커널, 모듈 및 하이브리드 전략에 대해 학습운영체제 성능을 모니터링 하기 위한 도구 학습운영체제 서비스(Operating System Services)운영체제는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사용자에게 특정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서비스는 프로그래머가 프로그래밍 작업을 더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위의 그림은 일반적인 OS의 구조를 그린 것이다. 구성요소에 대해 간단히 이해한 뒤에, 각각의 개념과 역할에 대해 좀 더 세부적으로 다뤄보자.User Interfaces(사용자 인터페이스)대부분의 운영체제는..
코딩 테스트 이해하기
·
CS
코딩 테스트 종류Implementation : 제시된 흐름에 따라 실행하는 코드를 만들도록 요구Algorithm comprehension : 문제의 효과적/효율적 해법을 찾아내도록 요구Competency test : 특정한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을 착안하여 제한시간 내에 풀도록 요구etc : 특정한 언어 구문을 활용할 수 있는지를 테스트 (SQL)어떤 대비가 필요할까?구현 능력 갖추기 : 아주 당연한 얘기지만 그만큼 필수적이기도 하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래밍 언어에 능숙해져야한다.기본적인 자료구조 이해 : Array, Stack/Queue, Hash, Tree, Graph,... 등등 여러 자료구조 익숙해지기기초 알고리즘 및 시간/공간 복잡도에 대한 이해 : 문제를 읽고 어떤 접근방법을 택할지 선정하는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