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형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오늘은 정수형과 실수형에 대해서 작성해보고자 한다.
정수형은 소수부가 없는 수를 뜻하며, 실수형은 소수부가 존재하는 수를 뜻한다.
정수형
형식 | 메모리 크기(byte) | 표현 가능한 범위 |
signed char | 1 | -128 ~ 0 ~ 127 |
signed short int | 2 | -32,768 ~ 0 ~ 32,767 |
signed int | 4 | -2,147,483,648 ~ 0 ~ 2,147,483,647 |
signed long int | 4 | -2,147,483,648 ~ 0 ~ 2,147,483,647 |
signed long long int | 8 | -9,223,372,036,854,775,808 ~ 0 ~ 9,223,372,036,854,775,807 |
unsigned char | 1 | 0 ~ 255 |
unsigned short int | 2 | 0 ~ 65,535 |
unsigned int | 4 | 0 ~ 4,294,967,295 |
unsigned long int | 4 | 0 ~ 4,294,967,295 |
unsigned long long int | 8 | 0 ~ 18,446,744,073,709,551,615 |
각각의 자료형의 최댓값에 1을 더했을때 최솟값으로 떨어지는 현상을 오버플로우(Overflow),
반대로 최솟값보다 더 떨어져 최댓값으로 오르는 현상을 언더플로우(Underflow)라고 한다.
실수형의 종류로는 float, double, long double가 있으며 각각 4바이트, 8바이트, 8바이트이상의 크기를 가진다.
형식 | 메모리 크기(byte) | 표현 가능한 범위 |
float | 4 | 3.4E+/-38 (7개의 자리수) |
double | 8 | 1.7E+/-308 (15개의 자리수) |
long double | 8 | 1.7E+/-308 (15개의 자리수) |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float a = 3.14;
int b = 3.14;
cout << a << " " << b;
//3.14 3
return 0;
}
실수형 변수에 소수부가 있는 수를 넣으면 문제없이 값이 출력된다. 하지만 정수형 변수에 소수부가 있는 수를 넣을 경우 정수부만 출력되게 된다.
'프로그래밍 >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 C++ ] 데이터의 형변환 (1) | 2023.10.26 |
---|---|
[ C++ ] 상수와 const (0) | 2023.10.08 |
[C++] char형과 bool형 (0) | 2023.10.08 |
[ C++ ] 변수의 선언과 사용 (0) | 2023.10.08 |
[ C++ ] Hello, C++!! (0) | 2023.10.08 |